한지공예는 제작기법에 따라
지승공예(紙繩工藝), 지호공예(紙戶工藝), 지화공예(紙花工藝), 지화공예 (紙畵工藝), 전지공예(剪紙工藝)와
기타 한지 공예로 구분할 수 있다.
전지(剪紙)공예는 한지를 여러 겹 덧발라 만든 틀에 다양한 색지로 옷을 입힌 다음 여러 가지 무늬를 오려 붙이는 것으로 우리 민족의 고유한 전통 문화의 하나이다.
전지공예는 가위나 조각칼을 사용하여 한지를 오려 붙여 완성한 공예를 말한다.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문양을 한지에 그린 후 문양의 선을 따라 가위나 조각칼로 오리고, 골격 바탕 면을 한지로 초배한 후 작품의 성격에 맞게 오색지로 나누어 붙여, 오려진 문양을 붙이고 마감 칠을 해주는 것을 말한다. 전지 공예는 오색 전지 공예와 양각 전지 공예가 대표적이다. 작품으로는 색실 상자, 색실첩1), 혼례에 쓰이는 예물함, 예단함, 족두리, 반짇고리, 동고리 등 여성 용품이 많으며, 다양한 상자류와 머릿장, 애기장, 버선장, 이층장, 삼층장, 의걸이장 등의 대작들을 들 수 있다. 1) 첩 : 한지를 접어 만들어 실이나 헝겊조각을 담는데 사용하였고, 겉으로 보기는 보통의 책과 같고 펼치면 색지로 칸막이를 만들었다. 책 같이 두껍게 배접하여, 딱딱한 질감에 卍자 문양을 장식하거나, 花紋을 그려 휴대용으로 여러 단을 접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접지의 겉면은 비단천, 색지로 바르기도 한다.
지승공예는 ‘노역개’라고 하는데 이는 종이를 끈으로 만들어 끈을 여러 가지 방법과 모양으로 엮어 작품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지승(紙繩)의 지(紙)는 종이를, 승(繩)은 ‘노’라는 글자이며, ‘노’라는 말의 뜻은 섭, 칡껍질(청올지), 마(麻)(삼), 종이 등을 가늘게 비비거나 꼬아서 만든 꼰 끈을 말하며, 노역개의 ‘역개’는 이 끈을 엮어 작품을 만들어 나간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종이가 흔치 않았던 예전에 글씨 연습을 하고 버리게 된 종이를 모아 두었다가 창호를 바르는데 사용하거나 버리게 된 휴지를 모아 지승 기법으로 생활 용품을 만드는데 이용하였다. 지승공예 기법으로 만든 생활용품에는 가는 노끈을 엮어 만든 그릇으로 물건을 담아 들고 나르는데 쓰인 지승 망태기, 지승으로 짜서 만든 것 속에 나무통을 넣고 안팎을 겹으로 지승으로 짜서 만든 지승 필통, 바구니, 망태, 상, 요강, 옷 등의 그릇을 만들어 옻칠을 입혀 사용하였다.
지호공예는 종이(닥종이)를 잘게 찢어서 물에 불려 찹쌀풀과 섞어 반죽한 다음, 찧어 이겨서 그릇모양의 틀에 조금씩 붙여가며 말리고 또 덧붙여 마지막에 골격을 떼 내고 옻칠을 하여 마무리 하거나, 또는 그림이나 색을 칠하여 마무리 한다.
장호지로 쓰다 버린 폐지나 글씨 연습이나 학습용 휴지, 파지 등을 가지고 물에 풀어 녹인 다음 말풀을 섞어 절구에 곱게 찧어서 점토처럼 만들고 이것을 이겨 붙여서 그릇을 만드는 기법이다. 이때 들기름이나 콩기름을 먹여서 충해를 막고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럼 다음 그 바탕에 색지를 바르고 무늬를 장식하여 호화롭게 꾸미기도 하였다. 그러나 대개는 그릇이 귀한 농가에서 합, 함지, 표주박 등을 만들 때 주고 이용하였고 종이 탈 등도 흔히 지호 기법으로 많이 만들었다. 지호공예 기법으로 만든 공예품에는 종이를 삶아 짓찧어서 만든 독으로 산간 지방에서 마을 곡식을 갈무리할 때에 많이 쓰이는 것이 있고, 물을 떠먹는 데 쓰는 그릇으로 조롱박이나 둥근 박을 반으로 쪼개어 놓은 모양의 작은 바가지인 유지 표주박을 만들어 쓰기도 했다. 반짇고리, 과반, 함지박, 동고리 등을 만들어 썼으며 요즘에는 종이인형 등을 만들기도 한다.
색지공예는 한지를 여러 겹 덧발라 만든 틀에 다양한 색지로 옷을 입힌 다음 여러 가지 무늬를 오려 붙여 만들며, 한지를 전통 염료로 염색한 색지를 사용한다.
주로 청(靑), 적(赤), 백(白), 흑(黑), 황(黃)의 오색이 기본이다. 색실상자, 오색실을 보관하는 용기인 색실 첩, 예물 함, 예단함, 족두리, 반짇고리 등의 유물이 있다.
지장공예는 나무로 골격을 짜거나 대나무, 고리 등으로 뼈대를 만들어 안팎으로 종이를 여러 겹 발라 만든다.
종이만 발라 콩물이나 감물, 옷칠 등으로 마감하기도 하고, 그 위에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려 마무리 하기도 하였다. 작품에는 지장, 함, 서류함, 화살 통, 안경집, 동고리. 지독, 갈모 이외에 많은 유물이 있다.
후지 기법은 종이를 여러 겹 붙여 두껍게 만드는 방법이다.
두껍게 만든 종이를 여러 번 접어 갖가지 형태의 기물을 만드는데 표면에는 요철로 무늬를 넣기도 했다. 칠을 하여 튼튼하게 만든 공예품은 가죽과 같은 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 작품에는 종이지갑, 물병 등이 있다.
줌치공예는 일반한지와 달리 전체 종이면이 요철처럼 기포가 거의 일정하여 오톨도톨한 면을 가지고 있다.
다른 종류에 비하여 대단히 적은 수의 유물이 남아 있으며 쌈지, 귀주머니, 지갑, 서류첩 등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종이옷과 지갑류를 만드는 경우에 질김을 견고히 하기 위해 많이 사용한다.
리뷰컨텐츠는 현재 페이지의 본문내용에 다시 접근할 수 있도록 링크를 제공합니다.